[Java] 연산자(operator)
[Java] 연산자
연산자
대부분의 연산자는 기본자료형의 사칙연산 등의 계산을 하기위해 사용합니다.
기본자료형을 제외한 참조자료형은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외로 String 클래스는 + 연산이 가능합니다.
연산자의 종류를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 *, /, %, +=, -=, *=, /=, %=
public class Operato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Operator operator = new Operator();
operator.add();
operator.subtract();
operator.multiply();
operator.divide();
operator.remainder();
operator.compound();
}
public void add(){
int num1 = 10;
int num2 = 20;
int result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 + " + num2 + " = " + result);
}
public void subtract(){
int num1 = 10;
int num2 = 20;
int result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 - " + num2 + " = " + result);
}
public void multiply(){
int num1 = 2;
int num2 = 3;
int result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 * " + num2 + " = " + result);
}
public void divide(){
int num1 = 7;
int num2 = 3;
int result1 = num1 / num2;
int result2 = num2 / num1;
System.out.println(num1 + " / " + num2 + " = " + result1);
System.out.println(num2 + " / " + num1 + " = " + result2);
double num3 = 5;
double num4 = 10;
double result3 = num3 / num4;
double result4 = num4 / num3;
System.out.println(num3 + " / " + num4 + " = " + result3);
System.out.println(num4 + " / " + num3 + " = " + result4);
}
public void remainder(){
int num1 = 21;
int num2 = 5;
int result1 = num1 % num2;
int result2 = num2 % num1;
}
// 대입연산자(Compound assignment operation)
public void compound(){
int num = 10;
System.out.println("num = 10");
num += 5;
System.out.println("num += 5; num == " + num);
num -= 5;
System.out.println("num -= 5; num == " + num);
num *= 5;
System.out.println("num *= 5; num == " + num);
num /= 5;
System.out.println("num /= 5; num == " + num);
num %= 5;
System.out.println("num %= 5; num == " + num);
}
}
// 10 + 20 = 30
// 10 - 20 = -10
// 2 * 3 = 6
// 7 / 3 = 2
// 3 / 7 = 0
// 5.0 / 10.0 = 0.5
// 10.0 / 5.0 = 2.0
// 21 % 5 = 1
// 5 % 21 = 5
// num = 10
// num += 5; num == 15
// num -= 5; num == 10
// num *= 5; num == 50
// num /= 5; num == 10
// num %= 5; num == 0
밑에 주석은 Operator 클래스 실행 결과입니다.
(참고로 // 는 해당 줄을 주석으로 만들어 코드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습니다)
말그대로 사칙연산을 위한 연산자입니다. 주의해야할게 몇가지 있습니다.
/ 는 나눗셈 후 몫만 리턴하고, %는 나머지만을 리턴합니다.
정수 / 정수 => 정수 가 나오는데요, 소수형 / 소수형 => 소수형 이 나옵니다.
num += 5; 는 num = num + 5; 와 같은 코드입니다. 즉, num = 10+5가 됩니다.
밑의 num -= 5;도 같은 원리인데 위에서 num는 15가 됬으니, num = 15-5가 됩니다.
++, –
public class OperatorIncreme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OperatorIncrement operator = new OperatorIncrement();
operator.increment();
}
public void increment(){
int num = 5;
System.out.println("num == " + num);
num++;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num--;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 num++과 ++num의 차이
System.out.println("num++과 ++num의 차이");
System.out.println("num == " + num);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System.out.println("num == " + num);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System.out.println("num == " + num);
}
}
// num == 5
// num++; num == 6
// num--; num == 5
// num++과 ++num의 차이
// num == 5
// ++num; num == 6
// num == 6
// num++; num == 6
// num == 7
++은 1을 증가시켜주고, –는 1을 감소시킵니다.
처음에 num은 5였는데, num++을 하자 6이 된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을 앞에 붙이느냐 뒤에 붙이느냐가 조금 다릅니다.
결국에 1이 증가하는 건 같은데 실행순서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는 먼저 num이 1증가하고, 그 후 println()메소드가 실행됩니다. 반면,
System.out.println(“num++; num == “ + num++);
는 먼저 println()이 실행되고 그 후에 num이 1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public class OperatorCompleme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OperatorComplement operator = new OperatorComplement();
operator.complement();
}
public void complement(){
boolean flag = true;
System.out.println("flag = " + flag);
System.out.println("!flag = " + !flag);
}
}
// flag = true
// !flag = false
!(느낌표)는 boolean타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로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바꾸어줍니다.
~
public class OperatorTild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OperatorTilde operator = new OperatorTilde();
operator.tilde();
}
public void tilde(){
byte num1 = 1;
byte num2 = 127;
System.out.println("num1 == " + num1);
System.out.println("~num1 == " + ~num1);
System.out.println("num2 == " + num2);
System.out.println("~num2 == " + ~num2);
}
}
// num1 == 1
// ~num1 == -2
// num2 == 127
// ~num2 == -128
~(tilde)는 비트연산자 중 하나로, 0을 1로, 1을 0으로 바꿉니다.
예를 들면 byte num1은 1입니다. 즉, 00000001입니다.
~num1은 ~00000001과 같고 이는 11111110인 -2가 됩니다.
byte num2는 127, 즉 01111111입니다.
~num2는 ~01111111인 10000000와 같고 이는 -128이 됩니다.
==, !=, >, <, >=, <=
public class OperatorCompariso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OperatorComparison operator = new OperatorComparison();
operator.equality();
operator.relational();
}
public void equality(){
int num1 = 1;
int num2 = 1;
int num3 = 2;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num3 ? " + (num1 == num3));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num3 ? " + (num1 != num3));
char charNum = 'a';
System.out.println("97 == charNum ? " + (97 == charNum));
int intNum = 1;
double doubleNum = 1;
System.out.println("intNum == doublenNum ? " + (intNum == doubleNum));
boolean flag1 = true;
boolean flag2 = true;
boolean flag3 = false;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System.out.println("flag1 == flag3 ? " + (flag1 == flag3));
System.out.println("flag1 != flag3 ? " + (flag1 != flag3));
}
public void relational(){
int num1 = 1;
int num2 = 2;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System.out.println("num1 <= num2 ? " + (num1 <= num2));
}
}
// num1 == num2 ? true
// num1 == num3 ? false
// num1 != num2 ? false
// num1 != num3 ? true
// 97 == charNum ? true
// intNum == doublenNum ? true
// flag1 == flag2 ? true
// flag1 != flag2 ? false
// flag1 == flag3 ? false
// flag1 != flag3 ? true
// num1 > num2 ? false
// num1 < num2 ? true
// num1 >= num2 ? false
// num1 <= num2 ? true
이번엔 비교연산자입니다.
==는 비교하는 두 대상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리턴합니다. !=는 그 반대입니다.
나머지 부등호들은 수학시간에 배운 그대로입니다. 해당 명제가 맞으면 true, 틀리면 false를 리턴합니다.
주의할점은 >=, <= 처럼 =를 뒤에 써야합니다. (=>는 오류입니다)
눈여겨 볼점은, charNum = ‘a’는 ‘a’가 ASCII 코드로 97이므로 같다고 true가 나옵니다.
intNum과 doubleNum은 자료형은 다르지만 값이 같기때문에 true로 나옵니다.
&&, ||, &, |
public class ConditionalOperato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ConditionalOperator operator = new ConditionalOperator();
operator.conditional();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False() & operator.returnTrue());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False() && operator.returnTrue());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True() | operator.returnFalse());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True() || operator.returnFalse());
}
public void conditional(){
boolean flag1 = true;
boolean flag2 = false;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System.out.println("flag1 || flag2 ? " + (flag1 || flag2));
}
public boolean returnFalse(){
System.out.print(" returnFalse method is run! ");
return false;
}
public boolean returnTrue(){
System.out.print(" returnTrue method is run! ");
return true;
}
}
// flag1 & flag2 ? false
// flag1 && flag2 ? false
// flag1 | flag2 ? true
// flag1 || flag2 ? true
// =====================================
// returnFalse method is run! returnTrue method is run! false
// returnFalse method is run! false
// returnTrue method is run! returnFalse method is run! true
// returnTrue method is run! true
일단 boolean 논리연산에서 &, &&과 ∣, ∣∣는 같은 결과를 낳습니다.
a & b와 a && b는 모두, a와 b 둘다 true일 때만 true값을 리턴하고, 그 외에는 false를 리턴합니다.
a ∣ b와 a ∣∣ b는 모두, a와 b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를, 그 외에는 false를 리턴합니다.
그럼 &와 &&는 무엇이 다를까요?
만약 temp1 = (false & true)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사실 앞에 false가 있다는 사실 자체가 temp1의 값은 false로 정해져있습니다. 뒤에가 false든 true든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는 굳~~~~~~~~~이 뒤에꺼까지 검사를 다 해보는 것이고, &&는 앞에가 false면 결과가 정해져있으므로 뒤에는 검사하지 않습니다.
∣와 ∣∣도 비슷합니다. temp2 = (true ∣ false)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앞에 true가 있기 때문에 temp2의 값은 true로 정해져있습니다. 뒤에가 false든 true든 상관없이요.
그런데 ∣는 굳~~~~~~~~~이 뒤에꺼까지 검사를 다 해보는 것이고, ∣∣는 앞에가 true면 결과가 정해져있으므로 뒤에는 검사하지 않습니다.
===================== 밑의 결과를 확인해보겠습니다.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False() & operator.returnTrue()); 는
앞에 returnFalse()메소드를 실행시켰을 때, “returnFalse method is run!”이 실행되고 false가 리턴됬습니다.
이미 값은 정해져있지만, &이므로 뒤의 returnTrue()메소드까지 실행시켜, “returnTrue method is run!”까지 출력됩니다.
반면 System.out.println(operator.returnFalse() && operator.returnTrue());는
앞의 returnFalse()메소드를 실행시켰을 때, false가 나와 이미 값이 정해졌고,
&&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뒤의 returnTrue()는 실행시키지 않아 “returnFalse method is run!”만 출력된 걸 볼 수 있습니다.
∣와 ∣∣도 같은 원리로 생각하면 됩니다.
?
public class ConditionalQuestio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ConditionalQuestion operator = new ConditionalQuestion();
operator.question();
}
public void question(){
int num = 5;
boolean flag = (num > 3) ? true : false;
System.out.println("flag == " + flag);
}
}
// flag == true
?(물음표)는 조건에 따라 값을 달라지게 합니다.
boolean flag = (num > 3) ? true : false; 는
flag변수의 값을 정하는데, num > 3이 true면 앞의 값을 대입하고, false면 뒤의 값을 대입합니다.
num은 5이기 때문에 5 > 3은 true고 즉, flag는 true가 됩니다.
Casting(형변환)
public class OperatorCastin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OperatorCasting operator = new OperatorCasting();
operator.smallToBig();
operator.bigToSmall();
}
public void smallToBig(){
byte byteValue = 123;
short shortValue = (short)byteValue;
System.out.println("byte 123 -> short: " + shortValue);
}
public void bigToSmall(){
short shortValue = 256;
byte byteValue = (byte)shortValue;
System.out.println("short 256 -> byte: " + byteValue);
shortValue = 255;
byteValue = (byte)shortValue;
System.out.println("short 255 -> byte: " + byteValue);
}
}
// byte 123 -> short: 123
// short 256 -> byte: 0
// short 255 -> byte: -1
타입을 변환시키는 걸 캐스팅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smallToBig()메소드에서 byte값이였던 byteValue변수를 앞에 (short)를 붙여 바꿔버린것처럼요.
주의할 것은 기본자료형->참조자료형 이나 참조자료형->기본자료형 으로 캐스팅은 불가능합니다.
캐스팅에는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1.작은 타입 -> 큰 타입
smallToBig()메소드의 경우입니다.
byteValue는 123이고, byte는 8bit이므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01111011입니다.
그런데 short는 16bit라서 16자리 입니다.
이렇게 작은자리타입에서 큰자리타입으로 변환될떄는 그만큼 앞에 0만 붙여주면 됩니다.
즉, shortValue는 0000000001111011으로 값은 똑같이 123이 됩니다.
2.큰 타입 -> 작은 타입
bigToSmall()메소드의 경우입니다.
shortValue의 256는 16bit인 이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100000000 입니다.
그런데 이 수를 byte byteValue = (byte)shortValue; 를 통해 byte로 바꾸려고 합니다.
그런데 byte는 8bit 크기의 변수입니다. 그래서 앞의 8개 bit를 그냥 날려버려야합니다.
그럼 남는건 00000000인 0이고 즉 byteValue의 값은 0이 됩니다.
그 밑에 shortValue가 255일 때를 보겠습니다. 255는 16bit 이진수로 표현하면 0000000011111111입니다.
이 값을 byte로 형변환을 하면 앞의 8개 bit가 날라가고 남는건 11111111입니다.
맨앞의 1은 음수임을 뜻하므로 이 값은 -1이 됩니다.
작은 타입 -> 큰 타입은 값이 변할 일이 없으니 신경을 안써도 되지만,
큰 타입 -> 작은 타입 변환은 값이 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덧붙이는 말
연산자중에 비트 연산자라는 것도 있습니다. bitwise(&, ∣, ^), bit_shift(», «, ≻≻≻)
쓸일이 적어서 위에서의 설명은 제외했습니다만, 간단하게 코드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코드안에 주석으로 설명을 다 넣었습니다.
public class BitOperato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BitOperator operator = new BitOperator();
operator.bitwise();
operator.bitshift();
}
public void bitwise(){
byte num1 = 1; // 00000001
byte num2 = 7; // 00000111
// 계산한 후 (byte)를 붙인 이유: 비트연산자로 연산될 때, int로 바껴서 계산되기 때문
// &는 같은 자리수의 숫자가 둘 다 1일때만 1, 나머지는 0
// 00000001
// 00000111
//---------
// 00000001
byte resultAnd = (byte)(num1&num2); // resultAnd = 1
// |는 같은 자리수의 숫자가 둘다 0일때만 0, 나머지는 1
// 00000001
// 00000111
//---------
// 00000111
byte resultOr = (byte)(num1|num2); // resultOr = 7
// ^는 같은 자리수의 숫자가 다를때만 1, 나머지는 0
// 00000001
// 00000111
//---------
// 00000110
byte resultXor = (byte)(num1^num2); // resultXor = 6
System.out.println("resultAnd = " + resultAnd);
System.out.println("resultOr = " + resultOr);
System.out.println("resultXor = " + resultXor);
}
public void bitshift(){
System.out.println("========= << =========");
// << 는 비트를 왼쪽으로 해당 숫자만큼 밀어버리고, 새로 생겨나는 부분은 0, 밀려나는 부분은 없어짐.
// a <<= b는 a = a<<b 와 동일
byte num = 1; // 00000001
num = (byte)(num<<1); // 0000001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2
num<<=2; // 00001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8
num<<=4; // 1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28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System.out.println("========= >> =========");
// >> 는 비트를 오른쪽으로 해당 숫자만큼 밀어버리고, 양수일 때는 새로 생겨나는 부분은 0, 밀려나는 부분은 없어짐
num = (byte)127; // 01111111
num>>=1; // 0011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63
num>>=2; // 0000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5
num>>=4;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System.out.println("========= >> =========");
// >> 는 비트를 오른쪽으로 해당 숫자만큼 밀어버리고, 음수일 때는 새로 생겨나는 부분은 1, 밀려나는 부분은 없어짐
num = (byte)-128; // 10000000
num>>=1; // 11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64
num>>=2; // 1111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6
num>>=4; // 1111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num>>=1; // 1111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num>>=1; // 1111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System.out.println("========= >>>= =========");
// >>>는 >>와 같은데, >>는 부호에 따라 새로 생겨나는 부분이 달라졌으나, >>>는 무조건 0
num = -128; // 10000000
num>>>=1; // 01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64 ?? 설명대로라면 01000000으로 64여야하는데??
num>>>=2; // 0001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6 ?? 이것도 예상과 다르다!
num>>>=4; // 0000000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 이유는 밑에 있습니다.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 일단 가장밑에 int로 처리한 부분을 보세요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
System.out.println("========= >>>= =========");
num = (byte)127; // 01111111
num>>>=1; // 0011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63
num>>>=2; // 00001111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15
num>>>=4;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num>>>=1; // 00000000
System.out.println("num == " + num); // num == 0
System.out.println("========= >>>= =========");
int numi = -2147483648; // 1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numi>>>=1; // 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System.out.println("numi == " + numi); // num == 1073741824
numi>>>=2; // 00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
System.out.println("numi == " + numi); // num == 268435456
numi>>>=4; // 00000001000000000000000000000000
System.out.println("numi == " + numi); // num == 16777216
numi>>>=1; // 00000000100000000000000000000000
System.out.println("numi == " + numi); // num == 8388608
numi>>>=1; // 00000000010000000000000000000000
System.out.println("numi == " + numi); // num == 4194304
// int는 위에서 설명했던대로 >>>가 잘 작동합니다.
// byte에서 안됬던 이유는 자바는 비트 쉬프트를 할때 일단 int로 다 바꾸기 때문입니다.
// 즉 num = -128인 상태에서 num >>>= 1 을 한다하면
// num >>>= 1은 num = num >>> 1과 같고 이때 우변에 num이 32bit인 int로 바껴버립니다.
// -128의 32bit 버전은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000 0000
// 그래서 num >>> 1은 결국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000 0000 >>> 1
// 즉, 0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100 0000 이 됩니다.
// 이걸 다시 byte로 바꾸면 뒤에 8bit만 남으므로, 11000000가 되고 결국 -64가 됩니다.
}
}
참고로 ≺≺≺ 연산자는 없습니다. «는 음수건 양수건 결과가 똑같기 때문입니다.